반응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와 연금계좌(연금저축, IRP)만 잘 활용해도
세액공제, 비과세, 과세 이연 등의 혜택을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이고 자산을 효율적으로 증식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에 구체적인 활용법과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목차
1. ISA와 연금계좌 특징
2. 가입 조건
3. ISA 계좌: 단기 투자 수익 비과세 혜택 누리기
4. 연금계좌: 세금 돌려받고, 노후 준비까지
5. ISA → 연금계좌로 이전 전략 (절세 2단 콤보)
6. 배당소득 중심 포트폴리오로 추가 절세
7. 가족 증여까지 가능! 유기정기금 활용 전략
8. 마무리
1. ISA와 연금계좌 특징
구분 | 절세 혜택 | 특징 |
ISA | 수익 비과세 + 9.9% 저율 과세 | 단기 수익용 절세 통장 |
연금계좌 | 세액공제 + 연금 수령 시 저율 과세 | 장기 노후 대비 + 세금 돌려받기 |
ISA → 연금계좌 | 추가 세액공제 + 3.3~5.5% 연금소득세 | 절세 2단 콤보 전략 가능 |
2. 가입 조건
항목 | ISA | 연금저축 | IRP |
가입 나이 | 만 19세 이상 (소득 있으면 15세 가능) | 만 19세 이상 | 직장인/자영업자 중심 |
소득 조건 | 서민형: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 제한 없음 | 제한 없음 |
세액공제 | 해당 없음 (이전 시 가능) | 최대 66만 원 | 최대 115만 원 |
계좌 수 | 1인 1계좌 | 중복 보유 가능 (공제는 합산 기준) | 중복 보유 가능 |
중도 인출 | 원금 가능, 혜택 소멸 | 세금 추징 (16.5%) | 제한적, 사유 필요 |
연금 수령 조건 | 해당 없음 | 55세 이상 + 5년 이상 유지 | 동일 |
3. ISA 계좌
ISA는 주식, ETF, 예금,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통장에서 운용 가능하며, 수익에 대한 세금 부담이 매우 적습니다.
✅ 절세 포인트
- 일반형: 수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 서민형/농어민형: 400만 원까지 비과세
- 초과분은 단 9.9% 과세 (일반 계좌는 15.4%)
→ 손실 난 상품과 수익 난 상품을 합산(손익통산)해 세금 부담 ↓
→ 배당 ETF, 금융주 중심 투자 시 절세 효과 극대화
💡 납입 한도 & 운용 팁
- 연 2,000만 원 납입 가능, 미사용분 이월 가능 (최대 1억 원)
- 유형 선택
- 중개형: 직접 ETF 운용 가능 (추천)
- 신탁형: 예적금 중심
- 일임형: 전문가 위임
4. 연금계좌: 세금 돌려받고, 노후 준비까지
연금계좌(연금저축 + IRP)는 납입할 때 세액공제 받고,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을 때도 세금 적게 내는 구조입니다.
✅ 세액공제 혜택
항목 | 한도세액 | 세액 공제율 | 최대 공제액 |
연금저축 | 400만 원 | 16.5%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 약 66만 원 |
IRP | 1,500만 원 | 동일 | 연금저축과 합산 시 최대 약 115만 원 |
- 연말정산 시 12월 31일 16시 전 납입 완료 필수
✅ 과세 이연 + 저율 과세
- 투자 수익은 당장 세금 안 냄(이연) → 55세 이후 수령 시 3.3~5.5%만 과세
- 일반 금융소득보다 훨씬 저렴
5. ISA → 연금계좌로 이전 전략 (절세 2단 콤보)
ISA를 3년 이상 유지하고 만기 자금을 연금계좌로 옮기면, 절세 혜택이 2배로 늘어납니다!
- 추가 세액공제: 이전 금액의 10% (최대 300만 원)
- 연금 수령 시 3.3~5.5% 과세
- 납입 한도 초과 가능 (1,800만 원 한도와 무관)
✅ 예시
ISA로 3,000만 원 운용 → 만기 후 연금계좌로 이체
= 300만 원 세액공제 + 기존 연금 세액공제 900만 원 → 총 1,200만 원 세액공제 가능
📌 단, 만기 후 60일 이내 이체해야 유효
6. 배당소득 중심 포트폴리오로 추가 절세
- ISA: 배당 ETF, 금융주, 커버드콜 ETF → 저율 과세 9.9%
- 연금계좌: 채권형 펀드, 안정형 ETF → 장기 투자 + 과세 이연
- 고소득자는 해외 배당 축소 → 국내 자산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조정 추천
7. 가족 증여까지 가능! 유기정기금 활용 전략
ISA에 매월 자동이체로 납입하고 국세청에 유기정기금 신고하면,
3% 할인된 증여세율로 가족에게 자산 증여 가능!
- 부모님 세대: 신탁형 ISA
- 투자에 익숙한 분: 중개형 ISA 활용
8. 절세 전략 요약
전략 | 설명 |
단기 절세 | ISA로 배당 ETF 투자 → 수익 비과세/저율 과세 |
장기 절세 | ISA 만기 후 연금계좌 이체 → 세액공제 + 저율 연금세 |
유동성 확보 | ISA는 원금 인출 가능, 연금저축은 중도 인출 유연 |
가족 증여 | 유기정기금 방식으로 ISA 활용해 증여세 절감 |
포트폴리오 최적화 | ISA = 수익/배당 중심, 연금 = 채권/안정형 자산 추천 |
📌 마무리
- ISA 계좌 먼저 개설 (은행, 증권사 가능)
- 연금저축계좌 + IRP 둘 다 개설 후 매월 납입 설정
- 연말정산 대비 세액공제 내역 확인 (홈택스 연금계좌 확인 가능)
- 필요 시 ISA 수익을 연금계좌로 이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