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업급여 개요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가 경영상 해고, 계약 기간 만료 등 비자발적 사유로 실직한 경우, 재취업 전까지 생계 안정 및 구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단,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경우에만 지급됨을 유의해야 합니다.
① 취업 지원 제도 안내
- 국민내일배움카드: 취업을 위한 교육·훈련 비용 지원
- 온라인 직업심리검사: 개인의 직업 성향 분석 제공
- 구직자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고용센터 운영): 이력서 작성, 면접 기법 등 구직 기술 교육
📌 실업급여와 함께 활용하여 빠른 재취업을 준비하세요!
2. 구직급여 지원 내용
구직급여는 실직한 근로자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되는 급여로, 퇴직 전 평균임금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금액과 지급일수가 결정됩니다.
① 구직급여 금액
구직급여는 아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구직급여액 =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구직급여일액) × 지급일수(120~270일)
-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의 60%를 3개월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
- 하루 최대 66,000원을 초과할 수 없으며, 최저임금의 80% 이하로 내려가지 않음
- 2023년 기준 최저 구직급여일액: 61,568원(8시간 근로 기준)
🔹 퇴직 전 평균임금 계산 방식
퇴직 전 4개월 중 최근 1개월을 제외한 3개월간의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예시:
- 9월~11월: 월 250만 원(총 750만 원)
- 12월: 50만 원
- 구직급여일액 계산:
- (250만 원 × 3개월 × 60%) ÷ 91일 = 49,450원
- 하한액(61,568원)보다 낮으므로 최종 구직급여일액은 61,568원으로 결정
② 지급일수(120~270일)
지급일수는 고용보험 가입기간 및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1년 미만 | 120일 | 120일 |
1년 이상 ~ 3년 미만 | 150일 | 180일 |
3년 이상 ~ 5년 미만 | 180일 | 210일 |
5년 이상 ~ 10년 미만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70일 |
📌 고용보험 가입기간 산정 방법
- 이전 직장 포함하여 누적 계산
- 다만, 구직급여를 받은 적이 있다면 그 이전 기간은 제외됨
- 고용보험 상실 후 3년 이상 공백이 있을 경우, 이전 가입기간은 합산되지 않음
③ 기타 유의사항
✅ 실업급여 신청 가능 기간
- 퇴직 후 1년 이내에 신청해야 지급 가능
- 1년이 지나면 정해진 지급일수와 관계없이 받을 수 없음
✅ 수급기간 연장 가능 여부
- 임신·출산·질병·부상 등의 사유로 취업활동이 어려운 경우, 최대 4년까지 연장 가능
- 연장을 원할 경우, 고용복지센터에 ‘수급기간연기신고서’ 제출 필수
2. 취업촉진수당
취업촉진수당은 빠른 재취업을 장려하고, 취업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① 조기재취업수당
- 소정급여일수의 1/2 이상을 남겨두고 재취업 또는 창업하여 12개월 이상 유지한 경우 지급
- 지급액: 남아있는 소정급여일수의 1/2
📌 예시:
- 지급일수 180일 중 90일 이상 남은 상태에서 재취업 → 조기재취업수당 지급
② 직업능력개발수당
- 고용센터장의 지시에 따라 직업훈련을 받는 경우 지급
- 교통비, 식비 등을 고려하여 1일 기준 7,530원 지급
③ 광역구직활동비
- 고용센터 소개로 원거리 지역에서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 지급
- 필요 시 교통비 및 숙박비 지원 가능
④ 이주비
- 취업 또는 직업훈련을 위해 주거지를 이전하는 경우 지급
- 고용센터장이 필요성을 인정한 경우에만 지급 가능
3. 일용직 실업급여 수급 조건
일용직 근로자가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① 일정 기간 고용보험 가입
- 마지막 근무일 이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 고용보험 가입 유형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음.
(예: 상용직, 자영업자, 예술인, 보험설계사, 퀵서비스기사, SW 기술자 등)
② 실업 상태
- 수급자격 신청일 직전 월의 첫날부터 신청일까지의 총 일수(기준 기간) 동안 일한 날이 3분의 1 미만이어야 함.
- 예) 신청일이 2월 11일 → 기준 기간: 1월 1일 ~ 2월 11일(총 42일)
- 42일의 3분의 1인 14일 미만 근무 시 실업 상태 인정
🔹 건설 일용직 예외 조건
- 기준 기간 중 3분의 1 이상 근무했더라도, 신청일 직전 14일 연속 근로 이력이 없으면 실업 상태로 인정
③ 비자발적 퇴직
- 실업급여는 권고사직, 계약기간 만료, 정리해고 등 비자발적 사유로 퇴직한 경우에 지급됨.
- 자발적 퇴사 시 원칙적으로 실업급여 수급 불가, 단 ‘정당한 이직 사유’ 인정 시 예외 적용 가능
🔹 정당한 이직 사유 예시
- 2개월 이상 임금 체불 발생
-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괴롭힘 피해
- 사업장 이전으로 통근 시간 왕복 3시간 이상 증가
- 질병·부상으로 근무 불가 (의사 소견서 필요)
- 임신·출산·육아로 인해 업무 수행 불가 (휴직 불가 시)
④ 실업 인정 및 구직 활동 필수
-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구직활동을 해야 하며, 이를 인정받아야 지급 가능
- 고용센터에서 구직활동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면 지급이 중단될 수 있음
4. 일용직 실업급여 신청 절차
일용직 근로자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 실업 상태, 비자발적 퇴직 여부를 충족해야 하며, 신청 후 사전 교육 및 실업인정을 거쳐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① 퇴직한 회사에 서류 제출 요청
- 회사에서 ‘고용보험 근로내용 확인 신고서’ 제출 필요
- 사업주가 근로복지공단에 신고하는 것이 의무
- 회사가 제출하지 않을 경우, 본인이 직접 고용센터에 신청 가능 (단, 급여 지급이 지연될 수 있음)
② 사전 확인
- 고용보험 가입 기간(18개월 중 180일) 및 서류 제출 여부 점검
- 서류가 누락되거나 퇴직 사유가 실업급여 대상이 아닐 경우 신청 불가능
③ 구직 등록
- 온라인(www.work.go.kr) 또는 고용센터 방문하여 구직 등록 필수
④ 사전 교육 수강
- 실업급여 신청 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육 필수
- 온라인 교육 미이수 시, 고용센터 방문 후 현장 교육 필요
⑤ 실업급여 수급자격 인정 신청 (고용센터 방문 필수)
- 신분증 지참 후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하여 신청서 제출
- 수급자격 인정 후 급여 지급 여부 결정
🔹 방문이 어려운 경우
- 자연재해, 질병 등 사유 발생 시 온라인 신청 가능 (사전 상담 필요)
⑥ 취업 준비 (구직 활동 필수)
- 실업급여 수급 중 입사지원, 면접, 직업훈련 수강, 채용박람회 참가 등 적극적 구직활동 필수
- 허위·형식적 구직활동 시 급여 지급 중단
🔹 허위 구직활동 예시
- 입사지원 후 면접 거부
- 채용 가능성이 없는 업체에만 지원
- 허위 서류 제출
⑦ 실업 인정 및 급여 지급
- 1~4주마다 실업 상태 인정 후 급여 지급됨
- 일부 회차는 온라인 신청 가능 (장기·반복 수급자는 방문 필수)
🔹 대리 신청 불가
- 본인 신청 원칙, 대리 신청 시 부정수급 간주
⑧ 실업급여 지급 종료
- 지급 기간(120~270일) 종료 또는 퇴직일 다음날부터 1년 경과 시 지급 종료
- 재취업 후 2개월 내 고용센터 신고 필수 (미신고 시 불이익 발생)
🔹 실업급여 종료 후 취업이 어려운 경우
- 연장급여 신청 가능 (재산·소득 기준 충족 시)
- 재취업 시 실업급여 절반 이상 남아 있으면 일부 지급 가능
5. 실업급여 수급 시 주의사항
① 부정수급 금지
- 허위 퇴직 신고, 근로 사실 미신고, 재취업 후 수급 지속,
- 허위 구직활동 시 최대 5배 환수 및 1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하 벌금형 처벌 가능
- 국세청 세금 신고와 연계되어 적발 가능성이 높음
② 실업급여와 중복 지원 불가한 제도
- 국민취업지원제도: 실업급여 수급 중 참여 불가, 1유형은 실업급여 종료 후 6개월 이후 신청 가능
-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취업으로 간주됨 → 실업급여 종료 후 90일 이후 재참여 가능
-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장려금: 실업급여 수급 중 교육비 지원 가능하나, 훈련장려금(추가 수당) 지급 불가
6. 결론
- 실업급여는 재취업을 위한 지원금이므로 적극 활용해야 함
- 구직활동을 성실히 수행해야 하며, 부정수급 시 강력한 처벌 가능
- 실업급여 종료 후에도 취업이 어려운 경우 연장급여 신청 가능
빠른 재취업을 위해 실업급여와 취업 지원 제도를 함께 활용하세요!
고용24_개인
m.work24.go.kr
https://m.work24.go.kr/cm/c/f/1200/selecSimulateCalc.do?currentPageNo=1&recordCountPerPage=10
지원금 모의계산
육아기근로시간단축급여 계산해보기
m.work24.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