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룡건설산업 주식 세종시 수혜 기대와 모듈러 주택 성장 동력
계룡건설산업(종목 코드: 013580)은 대한민국의 중견 건설사로, 건축·토목·주택·플랜트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계룡건설의 기업 개요, 최근 주가 동향, 재무 상태, 그리고 투자 포인트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2025년 4월 9일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기업 개요
- 설립연도: 1970년 (계룡건설 합자회사로 출발, 1978년 주식회사 전환)
- 주요 사업:
- 건축: 공공시설, 사무용 건물 등
- 토목: 도로, 교량, 지하철 등
- 주택: 아파트 건설 및 분양 (대표 브랜드 ‘ELIF’, 구 리슈빌)
- 플랜트: 산업 설비 및 인프라 구축
- 본사: 대전광역시 서구
- 특징:
- 충청권 중심의 강한 지역 기반
- 세종시, 대전 등 주요 지역 개발 프로젝트에서 두각
- 최근 모듈러 주택, 스마트 건설 기술(BIM 등) 도입을 통해 사업 다각화 중
2. 최근 주가 동향
2025년 4월 초 기준, 계룡건설 주가는 약 24,000원 내외를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한 달 사이 20%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세종시 관련 이슈, 특히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이 부각되며 나타난 현상으로 보입니다.
- 커뮤니티에서는 ‘불기둥’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하며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급등 양상을 보입니다.
- 단기 급등은 테마주의 전형적인 특성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테마 이슈가 사라질 경우 주가 하락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참고: 정확한 시세는 증권 앱이나 금융 포털(Investing.com, 팍스넷 등)에서 확인하세요.
3. 재무 상태 (2024년 추정 기준)
- 매출액: 약 1조 5천억 원
- 영업이익률: 약 5~7% (업계 평균 수준)
- 부채비율: 약 100~150% (건설업 특성상 자본집약적 구조이나 안정적)
- 시가총액: 약 2,000억 ~ 3,000억 원
- 배당금: 연간 500~700원 수준,
→ 최근 주가 기준 배당수익률 약 2~3% 예상 - 수주 실적:
- 2024년 9월, 세종시 국내 최대 규모 모듈러 주택 공사(약 3,428억 원) 수주
- 장기적인 수익 기반이자,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
📊 추가 지표 (예상치)
- ROE: 약 7~8%
- PER: 5~7배 수준으로 동종 업계 대비 저평가 구간
4. 투자 포인트
4-1. 긍정적 요인
- 세종시 개발 수혜
→ 행정수도 이전 이슈 및 지역 특화 개발로 인한 수혜 가능성 - 신사업 확대
→ 모듈러 주택, BIM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전략 - 안정적 재무구조
→ 무리한 차입 없이 꾸준한 실적과 배당 유지
4-2. 리스크 요인
- 테마주 급등락 위험
→ 세종시 이슈가 일시적일 경우,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 - 국내 건설 시장 정체
→ 수주 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상승 시 수익성 악화 - 금리 인상 환경
→ 분양 시장 위축 및 주택 사업에 부정적 영향
5. 종합 평가 및 투자 제언
계룡건설산업은 충청권 기반의 강점을 가진 중견 건설사로, 세종시 테마 수혜와 신사업 확장을 통해 단기·중장기 성장 여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주가 상승의 주요 동력이 단기 테마성 이슈인 만큼, 투자에 있어 아래 전략을 참고해보세요.
- 단기 투자자
→ 세종시 이슈 지속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기술적 지표 및 수급 동향 중심의 매매 전략 추천 - 중장기 투자자
→ 수주 실적, 재무 건전성, 배당 흐름을 기반으로 안정적 수익 추구 가능
< 계룡건설 2025년 1분기 실적 공시 여부 >
- 2025년 4월 10일 기준, 2025년 1분기 실적은 아직 공시되지 않았습니다.
- 일반적으로 1분기 실적은 5월 중순 전후 발표되므로, 아직 대기 중인 상황이에요.
-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반응형